화격자식(Stroker) 소각로
화격자식 소각로는 폐기물을 전처리 없이 소각하여 에너지를 생산하고 오염물질을 최소화 하는 기술입니다. 연소시 발생된 폐열을 이용, 생산된 증기는 인근 산업단지에 열원공급하거나, 증기터빈발전기를 이용하여 전력생산판매 및 온수는 지역난방 시설등에 공급합니다.
폐기물로부터 에너지를 회수합니다. 폐기물 특성에 따라 다양한 화격자 적용(수냉화격자, 공냉화격자, 진동식화격자 등) 하여 소각효율을 최적화 하고 에너지 생산을 최대화, 오염물질 발생을 최소화하는 첨단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유동상식 열분해 용융로
유동상식 열분해 용융로는 열분해 노내 유동매체에 의해 폐기물이 저산소 상태에서 폐기물의 자체 연소열에 의해 폐기물을 열분해 되며, 발생된 탄화물은 열분해 가스 연소열에 의해 선회류식 고온용융로에서 용융슬래그로 배출 재활용 가능한 친환경적이며 안정적인 기술입니다.
바이오매스(SRF) 보일러
SRF는 폐목재 및 목재 부산물 등을 원료로 하는 Bio-SRF 및 일반폐기물을 원료로 하는 SRF로 분류되며 , 원료특성 및 규모에 따라 화격자식 또는 유동상식 SRF보일러를 적용한 바이오매스 발전시설 건설에 최적화 된 기술 및 경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폐기물 전처리 설비 (MBT)
MBT(Mechanical Biological Treatment)는 생활폐기물을 단순소각 또는 매립 이전에 기계적으로 폐기물을 선별하여 재활용물질을 회수하고 고형연료(SRF)를 생산함으로 폐기물 자원화를 극대화하고 소각이나 매립량을 최소화 시키는 기술입니다. 생산된 고형연료는 시멘트 시설 및 발전소 보조연로료 공급되며 SRF 전용발전소에서 대체연료로 사용하게 됩니다.
집단에너지 (SRF)
SRF(Solid Refuse Fuel,폐기물고형연료)는 폐기물에 함유된 수분과 금속류 및 유리 등의 불연성분을 건조, 파쇄, 선별 등의 공정을 통하여 제거하고 가연성분만을 가공하여 만든 고형연료입니다. SRF 연소에 적합하게 설계된 내부순환유동층 보일러기술을 활용합니다. 유동층 보일러는 층내 혼합이 잘 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와 과잉 공기율에서도 완전 연소가 가능하고 다양한 연료를 혼합연소가 가능합니다. 또한 유동층 방식 은 별도의 공정 없이도 오염물질의 배출억제가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SRF를 연소하여 생산된 고온고압 증기를 생산하여 스팀터빈발전기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여 발전 효율을 높게 만듭니다, 또한 고온 고압의 스팀을 산업단지에 공급할 수 있습니다. SRF를 활용한 발전은 폐기물로 부터 에너지를 회수하는 친환경에너지 회수 방식입니다.
주요실적
프로젝트명 |
발주처 |
규모 / 사양 |
비고 |
마포자원회수시설 |
서울시 |
250톤/일 X 3기
|
2005
|
창원시 쓰레기 소각장 |
창원시 |
200톤/일 X 2기 |
2000 |
성남판교크린타워 |
LH공사 |
45톤/일 X 2기 |
2009 |
울산광역시 자원회수시설 |
울산광역시 |
200톤/일 X 2기 + 250톤/일 X 1기 |
2000 2012 |
아산소각장 |
아산시 |
200톤/일 |
2011 |
양양군 열분해 용융 폐기물 소각장 |
양양군 |
30톤/일 |
2008 |
나주 생활폐기물 전처리시설 설치사업 |
한국환경공단 |
130톤/일 |
2014 |
행복도시 폐기물 연료화 |
LH공사 |
130톤/일 |
2013 |
익산 제2산업단지 집단에너지 시설 |
익산상공에너지 |
9.8MW, 75 ton/hr |
2012 |
슬러지 건조 (연료화)
하수처리장 또는 폐수처리장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는 증기 등의 외부 열원을 이용, 건조하여 연료를 생산하는 시설입니다.
생산된 연료는 발전소 및 시멘트 공장에 공급되어 보조연료로 활용하게 됩니다.
다수의 설계·시공경험을 바탕으로 각 슬러지 성상을 고려한 최적의 설비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슬러지 소각
하수처리장 또는 폐수처리장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는 소각에 적합하도록 사전 건조 시킵니다. 건조된 슬러지는 소각로에서 보조연료 없이 연소하여 증기를 생산하며 생산된 증기는 건조열원으로 공급되어 에너지를 절감시킵니다. 국내 최대규모 슬러지 소각로를 설계·시공한 경험을 바탕으로 각 슬러지 성상을 고려한 최적의 설비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주요실적
프로젝트명 |
발주처 |
규모 / 사양 |
비고 |
광주 하수슬러지 처리시설 |
광주광역시 종합건설본부 |
110톤/일 X 3기 |
2012 |
양산시 하수슬러지 처리시설 |
양산시 |
60톤/일 X 2기 |
2009 |
충주 하수슬러지 처리시설 |
한국환경공단 |
60톤/일 |
2012 |
창원 덕동 하수슬러지 시설 |
창원시 |
200톤/일 X 1기 (소각) |
2008 |
바이오 가스화
“유기성 폐기물 2상 혐기소화공법” 은 국내 최초로 개발하여 한국신기술(KT)을 획득하여 상용화한 유기성폐기물자원화 기술입니다. 다량의 염분과 수분을 함유한 국내의 음식물쓰레기와 축산분뇨, 하수슬러지 등 다양한 생분해성 유기성폐기물의 혐기성소화를 통해 유기물 감량화와 대체에너지원인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기술입니다. 유기성폐기물의 혐기성소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소화슬러지는 양질의 퇴비 또는 액비로 사용되며, 생성되는 바이오가스는 발전기 또는 보일러의 열원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퇴비화
호기성 퇴비화는 산소를 이용하여 물질을 산화분해 시키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시켜 감량화 및 분해 잔재물을 토지개량제로 이용할 수 있는 퇴비라는 형태의 새로운 물질을 생산하는 기술입니다.
바이오가스 정제 및 고질화 기술
매립지, 하수처리시설 및 유기성폐기물자원화시설 등의 혐기성 소화설비에서 생산된 바이오가스를 정제하여 고순도의 바이오메탄을 생산하는 시설입니다. 생산된 고순도의 바이오메탄은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자동차 연료로 사용됨으로써 대체에너지원 마련 및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수도권매립지에 바이오가스 자동차연료화 시설의 설치 및 운영을 통하여 14,400N㎥/일 가량의 바이오메탄을 생산하여 버스 등 하루 200여대 차량에 연료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주요실적
프로젝트명 |
발주처 |
규모 / 사양 |
비고 |
원주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바이오메탄 자동차 연료화 |
강원바이오에너지 |
220톤/일 |
2014 |
울산광역시 유기성폐기물 바이오 가스화 |
한국환경공단 |
150톤 |
2013 |
고양 바이오매스 |
한국환경공단 |
음식물 250톤/일 가축분뇨 10톤/일 |
2014 |
수도권매립지 음폐수 바이오가스화 |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
음폐수 500톤/일 |
2013 |
파주시 음식물 축분 병합처리시설 |
파주시 |
80톤/일 |
2004 |
바이오가스 자동차 연료화 (수도권CNG) |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
600Nm3/hr(raw biogas) |
2010 |
파주시 음식물 퇴비화 시설 |
파주시 |
30톤/일 |
1999 |
폐기물 자동집하 설비
폐기물 자동집하설비는 가정에서 종량재 봉투로 투입구에 투입하면 진공청소기원리와 같이 공기압을 이용하여 지하에 매설된 관로를 통하여 집하장에 모여진 생활폐기물은 압축포장 또는 파쇄 선별 후 인근 소각장으로 보내지어 처리하는 도심형 친환경 기술입니다.
주요실적
프로젝트명 |
발주처 |
규모 / 사양 |
비고 |
판교 신도시 자동크린넷 |
LH공사 |
47.2톤/일 |
2013 |
남양주별내 자동크린넷 |
LH공사 |
39.69톤/일 |
2013 |
김포한강신도시 자동크린넷 |
LH공사 |
77.35톤/일 |
2015 |
인천청라 자동크린넷 |
LH공사 |
75톤/일 |
2016 |
매립시설
생활폐기물 및 비산재 지정폐기물 매립장은 준호기성 위생매립 (CELL 방식) 방식으로 폐기물의 위생적·안정적 매립 처리로, 2차 환경오염물질에 의한 환경오염 최소화 및 조기 안정화를 위한 선진기술 입니다.
주요실적
프로젝트명 |
발주처 |
규모 / 사양 |
비고 |
울산시 매립장 |
울산그린 |
2,480,000㎥
|
2013
|